청년도약계좌로 5년 만에 5천만 원 목표, 가능할까요? 가능합니다. 월 최대 70만 원, 정부기여금 + 이자 + 비과세 혜택 등을 잘 활용하면 청년 여러분도 “5년 국적목돈”을 만들 수 있는 제도입니다. 다만 조건, 소득 구간, 납입액 등이 영향을 크게 미치므로 꼼꼼히 확인하셔야 합니다.
✅ 가입 조건
청년도약계좌는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:
구분 | 조건 | 비고 |
---|---|---|
연령 |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 | 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까지 나이 산정에서 제외 가능 |
개인 소득 | 총급여액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과세표준 6,300만 원 이하 |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가입 불가 |
가구 소득 | 중위소득 250% 이하 | 가구원 수 기준 적용 (배우자, 부모, 자녀 등) |
금융소득종합과세 여부 | 직전 과세기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어야 함 | 이자·배당 등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 이상이면 해당 |
납입 금액 | 월 1천 원 ~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설정 | 천 원 단위로 설정 가능 |
가입 기간 | 5년 (60개월) | 만기까지 유지 시 혜택 전부 적용 |
✅ 혜택 구조
청년도약계좌는 단순 저축이 아니라, 납입액에 정부의 기여금이 더해지고 비과세 혜택 및 우대금리를 함께 적용받을 수 있어 목돈 마련에 유리합니다.
혜택 항목 | 내용 | 조건 |
---|---|---|
정부기여금 | 소득에 따라 월 최대 수 만 원 수준의 추가 적립 |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비율 적용 |
비과세 혜택 | 계좌 이자소득세 전액 면제 | 만기까지 유지 조건 필요 |
우대 금리 | 은행별로 우대 조건 충족 시 추가 금리 적용 | 급여이체, 카드사용, 자동이체 등 실적 연동 |
목표 수령액 | 매월 70만 원 × 60개월 + 기여금 + 이자 | 최대 약 5천만 원 가능 |
✅ 5년 만에 5천만 원 만드는 계산 예시
가장 유리한 조건을 가정했을 경우:
- 원금: 70만 원 × 60개월 = 4,200만 원
- 정부기여금: 소득 구간에 따라 월 10~40만 원 → 총 기여금 약 500만~800만 원
- 이자 수익: 연 3% 가정 시 약 300만~500만 원
- 총 수령액 예상: 약 5,000만 원 이상 가능
✅ 유의사항 및 리스크
• 중도 해지 시 정부기여금 환수 또는 이자소득세 과세로 실수령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• 일정 소득 이상이 되거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면 지원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.
• 매달 70만 원 납입은 부담이 클 수 있으므로, 본인의 소비 계획과 재정 여건을 반드시 고려해 설정하셔야 합니다.
✅ Q&A
Q1. 정말 5천만 원을 받을 수 있나요?
A: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월 최대한도(70만 원)를 5년간 유지하면 이론상 가능합니다. 다만 대부분은 중간 금액에서 납입하거나 조건 일부를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3천만~4천만 원 정도 수령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.
Q2. 중도 해지하면 손해인가요?
A: 네, 손해입니다. 특히 3년 미만 해지 시에는 정부기여금이 거의 지급되지 않고, 비과세 혜택도 박탈됩니다. 단, 결혼, 출산, 병역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 일부 예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.
Q3. 직장인이 아니라도 가입할 수 있나요?
A: 가능합니다. 프리랜서, 자영업자 등 소득이 확인 가능한 청년이라면 가입할 수 있으나, 일정 요건 충족 및 증빙이 필요합니다. 소득이 없거나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가입이 불가합니다.